Network

Switch SVI (L3 포트처럼 사용하는 기술) / FHRP 1. HSRP

Dokker 2023. 7. 10. 13:53

SVI_FHRP_HSRP_메뉴얼.hwp
0.14MB

SVI

 

스위치 3745 L3 포트 사용법

 

L3 : IP 설정 가능

 

L2 : IP 설정 불가능 <-------- L3 포트처럼 사용하는 기술 : SVI

 

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W1  SVI 셋팅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W3 셋팅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PC3 에서 SW1 통신 가능 확인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W2 IP 셋팅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SW3 vlan 20 셋팅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PC2에서 SW2 통신 가능 확인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 

 

      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동작모드 SW 에서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conf t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ip routing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=======> 라우팅 모드로 전환

 

   sh ip ro 를 했을때 라우팅 모드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.

 

R1 에서 ip설정 후 EIGRP 100으로 설정 하면 4.1.1.0 대역이 보이는 것을 확인.       

 

PC1,2는 f1/15 까지는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다. 

 

Gateway 설정 후 루프백 1.1.1.1 통신이 가능한 것을 확인.

 

 

 

VLAN 변경  vlan 10 --> 20으로 변경후 PC2에서 PC1 통신 가능하게 하기

 

 

PC2 ---> PC1 통신 가능 확인.

 

 

  PC2 의  Gateway를 4.1.1.1 로 변경 후 PC1과의 통신 가능 확인.

 

 

 

 

스위치 장비 이중화 FHRP (First Hop Redundancy Protocol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----------------        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분 ---> 여분의 장비를 둠으로써 장비의 고장 시 대체할 장비를 같이 세팅 해 둔다. 

 

이중화 ---> Net :  회선   : L3 신경쓰지 않는다 ---> 라우팅 프로토콜이 알아서 한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L2 : Pvst+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장비   : FHRP ---> 여분의 장비를 이용해 장애 발생 시 대처가 가능하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. HSRP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 VRRP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. GLBP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> Cisco 장비에서는 3개 다 지원된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erver : Proxy ---> HA 구축 : HA : High Available : 고가용성 ---> 가용성이 높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--------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서비스가 가능하다.

 

 

보안 ---> 3요소 : 무결성    /    기밀성     /     가용성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-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: 페이로드의 내용이 변조되지 않는다 --->SSL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---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: 누가 누구에게 전달하는가? 를 숨겨준다. (헤더) : IPSEC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: IPSEC ---> 터널 : 기밀성 / 무결성 + 기밀성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---> 전송 : 기밀성 / 무경성 + 기밀성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----: FailOver ---> 장애 발생 시 처리 방안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FHRP

 

 

 

라우터/스위치 : 포트가 존재한다.

L3 : Routed Port

L2 : Access Port <--- 가상의 VLAN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맵핑 : SVI(Switched Virtuall Interface) ---> IP 설정가능 ---> L3 prot

       Trank Port

 

 

FHRP ---> 1. HSRP : cisco 개발,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L3스위치 또는 라우터 간에 동작한다.

 

여러개의 라우터 중 하나의 라우터를 1대의 라우터를 Active로 선정 (ESW1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나머지 라우터를 Standby로 선정 ( ESW2)

         평소에는 Active라우터가 동작하고 장애 발생 시 Standby라우터가 Active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한다.

 

가상 게이트웨이를 설정하고 호스트들은 가상 게이트 웨이를 사용한다.

--------------------- >> 동일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별도의 IP : 4.1.1.254

실제 사용하는 GW의 MAC주소는 ESW1(active)의 MAC주소를 사용한다.

 

 

ESW1 설정

conf t

int vlan 10

standby 1 ip 4.1.1.254

standby 1 priority 105

standby 1 preempy delay minimum 5

standby 1 track f0/0

 

 

 

ESW2 설정

 

conf t

int vlan 10

standby 1 ip 4.1.1.254

standby 1 preempy

 

 

동작상태 확인  sh standby bri

 

ESW1

 

ESW2

 

 

 

PC1,2 게이트웨이 재 설정 4.1.1.254

 

 

 

ESW3#sh mac-address-table
Destination Address  Address Type  VLAN  Destination Port
-------------------  ------------  ----  --------------------
c403.3dbc.0000          Self          1     Vlan1
c401.0dcc.0000          Dynamic      10     FastEthernet1/15   ---> ESW1 MAC
c402.37a4.0000          Dynamic      10     FastEthernet1/14  ---> ESW2 MAC
0000.0c07.ac01          Dynamic      10     FastEthernet1/15  ---> Active router MAC

 

 

ESW1 f0/0 을 셧다운 후 재 연결 하였을때 Standby -> Active 모드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
 

ESW1 f0/0 을 셧다운 후 재 연결 하였을때 Speak -> Standby 모드로 돌아가는 것 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
실습

 

-시나리오-

 

R1 루브백 1.1.1.1 로 설정하고 전체 네트워크는 EIGRP 로 셋팅

ESW1 vlan 10 Active 모드

ESW3 vlan 20 Acive 모드

ESW2는 vlan 10,20으로 설정 후 Standby 모드로 설정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