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유니의 블로그
article thumbnail
Published 2023. 6. 20. 11:04
SAMBA (SMB) // smb nmb Linux

삼바 서버 : 디렉터리 공유 --->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한다.

 

실습 준비

 

공유폴더 생성 : DO << ----- 

 

공유 확인2 <---cmd 창에서 확인

 

명령어 = net share

\\

\\192.168.0.160\do       ------->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실행/탐색기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하다.

smb://192.168.0.160/DO 

 

 

 

윈도우의 공유폴더 윈도우 운영체제 접근 가능 확인 : 그냥 접근 가능

윈도우의 공유폴더 리눅스 운영체제 접근 가능 확인 : smb 프로토콜로 접근 가능

 

SAMBA란?

MS와 INTER 윈도우 시스템에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같은 자원(리소스)를 공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----------------다른 윈도우 시스템

        윈도우 운영체제간에 리소스를 공유하고 싶다.

          Server Massage Block (smb)

          -----> 목표 : 자원 공유 및 하드웨어 공유

         

smb 취약점을 공격 ---> 랜섬웨어 유포에 악용될 소지가 크다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> smb는 기본 프로세스로 활성화 됨 --> 일반 사용자는 막을 방법이 없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> 해결책 : 서비스를 종료!!!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smb 취약점 <--- SMB 버전1.0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0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.0

 

 

프로그램 추가/제거 ---> winwoss 기능 켜지/끄기         smb == CIFS

           

NFS : NFS(Network File System)는 네트워크에 파일을 저장하는 메커니즘입니다. 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격 컴퓨터에 있는 파일 및 디렉토리에 액세스할 수 있고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가 로컬에 있는 것처럼 처리하도록 허용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입니다. ( 리눅스용 자원공유 SMB)

 

명령어 sc -->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

sc.exe config lanmanworkstation depend= bowser/mrxsmb10/ns1 ==> smb 1.0 체크 해제 명령

 

sc.exe config mrxsmb20 start= disablde ==> smb 2.0 체크 해제 명령

 

 

 

C7 -> cmb 활용

 

서비스이름 : smb

패키지 이름 : samba ---> server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samba-client --> client

 

yum -y install samba samba-client

 

설정파일 : /etc/samba/smb.conf

 

cp -ap smb.conf smb.conf.bak    ---> 백업파일 복사 만들기

     ---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> 소유자 / 권한을 똑같이 복사해라

 

리눅스에서 사용할 공유폴더 : /share/smb

 

mkdir -p /share/smb

          ---                >  중간에 있는 디렉터리도 생성한다.

[공유이름]

comment = do smaba = 주석내용
path = /share/smb = 경로
writable = yes = 쓰기모드 설정
wire list = 쓰기 권한을 갖는 계정

hosts allow = 192.168.0.160/24
browseable = yes

 

[share]

comment = DO smaba
path = /share/smb
writable = yes
write list = do1,@DO
valid users = do1,@DO
hosts allow = 192.168.0.160/24
browseable = yes

 

useradd -s /sbin/nologin DO

               --  > 사용할 쉘 선택

 

cat /etc/passwd

 

 

일반계정 DO이 생성 되었다 ---> 로그인을 하더라도 bash가 실행되지 않는다. ---> 명령어 사용에 제한 발생

 

일반게정 DO ---> smb계정에 등록

 

smbpasswd -a DO     --->smb 접근 시 사용할 패스워드 지정

 

공유폴더에 사용할 디렉터리와 DO 계정의 동기화 (소유권 변경)

chown -R DO:DO /share

 

systemctl restart smb nmb ----> 재시작

 

pdbedit --list --> smb 계정 확인

 

 

윈도우 ---> 공유 폴더 생성(Server)   < ---윈도우(client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<---리눅스(client)

리눅스 ---> 공유 폴더 생성(server)     <---윈도우(client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<---리눅스(client)

 

강사님 공유폴더 접속 smb://192.168.0.8

 

samba <--- GUI 환경에서 접속

 

smb 서비스를 활용하는 패키지(유틸리티)

cifs-utils

 

yum -y install cifs-utils 

 

 

 

리눅스에서 윈도우의 공유폴더에 접근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--  >>>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사용자 : smb

 

윈도우의 공유폴더 접근방법 : \\192.168.0.165\DO

 

smbclient -L 192.168.0.160/DO -U smb   -----> 공유 디렉터리에 접근

메인컴퓨터 공유폴더로 접근 완료.

 


mount : 연결

SRC : 윈도우/DO        DST : 리눅스 : /share/mnt

 

cd /share

mkdir mnt    ----->디렉터리 생성

cd mnt  

touch ppp

cd ..

 

mount -t cifs SRC DST -o username='ID',password='1234'  (파일시스템)

           --------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>> 연결할 때 사용할 파일 시스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-                 >> 대상 : //192.168.0.160/DO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-----          >> 타겟 : /share/mnt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>>> 인증정보

 

 

mount -t cifs //192.168.0.160/DO /share/mnt -o username='ID',password='1234'

 

mount -t cifs //192.168.0.160/DO /share/mnt -o username='kitri',password='kitri6'

 

umount /share/mnt   -------> 마운트 해제

 

 

연결확인 일반 cmd창에서 보임

 

 

윈도우상에서 자신에게 접속한 상대방의 연결을 끊는 방법

 

 

리눅스 상에서 마운트된 상태 확인

 

 

시스템 부팅 시 적용되는 파일시스템 관리  설정 파일

 

cd /etc/  ----> vim fstab

 

fstab : 자동 마운트

 

vim fstab 파일 안에 붙여넣기

//192.168.0.160/DO/share/mnt     cifs      user=kitri,=pass,kitri6,rw,rid=0     0 0

 

===> 재부팅 init 6  ====> df  자동 마운트 되는 것을 확인

profile

도유니의 블로그

@Dokker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

검색 태그